AWS

AWS 네트워크 및 콘텐츠 전송 서비스

2023. 9. 30. 17:37
목차
  1. IP주소
  2. IPv4
  3. 퍼블릭 IP주소
  4. 프라이빗 IP주소
  5. CIDR 블록
  6. 라우팅 및 라우팅 테이블
  7. 라우터
  8. 라우팅
  9. 라우팅 테이블
  10. AWS 라우터 테이블
  11. DNS
  12. VPC
  13. 서브넷
  14. 라우팅 테이블
  15. 인터넷 게이트 웨이
  16. NAT 게이트 웨이
  17. VPC 접근 제어 및 통신 로그 확인
  18. 보안그룹, ACL 차이점

IP주소

  • 웹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특정한 주소, IP주소를 통해 웹서버에 접근하고
  • PC, 스마트폰, IOT기기 등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든 디바이스에 는 고유한 IP주소가 할당됨
  • 일반적으로 IPv4를 표준으로 사용 

IPv4

  • IP주소를 표기할떄 표준
  • 2*32 = 43억개의 주소가 존재
  • PC, 스마트폰 등 IPv4주소를 사용하는 기기나 늘어남에 따라 IPv4주소를 대체할 수 있는 표기법으로 IPv6 등장=> 2*128 = 340억개의 IP주소 표기 가능

  • 2의32승 = 32비트로 이루어진 숫자
  • 8비트씩 . 으로 구분한 이진수

퍼블릭 IP주소

  • 퍼블릭 IP주소는 전세계에서 ( 외부에서 ) 접근 가능한 IP주소
  • 퍼블릭 IP주소를 절대로 중복되지 않음
  • 퍼블릭 IP주소를 알면 전세계 어디서 누구나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근 가능
  • 예시) IPv4 주소 (32비트 주소): 203.0.113.45
  • 예시) IPv6 주소 (128비트 주소):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프라이빗 IP주소

  • 프라이빗 IP주소는 사설 네트워크 (LAN) 내에서만 사용가능
  •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접근할 수 없음
  • NAT(Network Address Transaction)으로 연결하여 퍼블릭 IP주소와 매핑 가능
  • 프라이빗 IP주소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
  • 192.168.0.0 ~ 192.168.255.255 ( 192.168.0.0/16 )
  • 172.16.0.0 ~ 172.31.255.255 ( 172.16.0.0/12)
  • 10.0.0.0 ~ 10.255.255.255 ( 10.0.0.0/8 )

CIDR 블록

  •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
  • IP주소를 이용해 네트워크 범위를 정의 하는 것
  • IP주소를 나타내는 숫자열은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눔
  •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정의
  • 호스트 : 네트워크 안에서 접속할 수 있는 서버 등을 나타냄

라우팅 및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

  • 특정 IP주소를 찾아가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고 연결해주는 역할

라우터

라우팅

  • 특정 IP주소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여러 라우터를 거치게 되기때문에 어떻게 라우팅하는 것이 효율적일지 결정함
  • 라우터가 최적의 경로를 찾아서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

라우팅 테이블

  • 각 라우터는 소유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 IP주소를 향해 이동해야 하는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이떄 경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이라고함

라우팅 테이블

AWS 라우터 테이블

    • 라우팅 테이블에는 어떤주소( CIDR 블록)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는지 명시
    • 대상 필드 : 목적지 IP주소(CIDR 블록)에 대응하는 대상( 출발지 )을 정의함
    • 기본 VPC의 경우 VPC CIDR 주소의 범위는 모두 로컬 통신이됨
    • 인터넷과 통신하는 경우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대상으로함
도착지 대상
172.31.0.0/16 local
0.0.0.0/0 igw-xxxxxxxxxxxxxxxxxxxxxxxxx

DNS

  • DNS가 우리 대신 도메인이름에 연결된 IP주소를 찾아 연결해줌 => 이름 해석
  • 도메인 : www.naver.com과 같은 url 주소
  • 도메인 이름에는 IP주소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만으로 사이트에 접속 가능

VPC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는 AWS에서 생성할 수 있는 프라이빗 가상 네트워크 공간
  • EC2, RDS같은 자원을 배치해 이용함
  • aws에서 빠르게 VPC를 구축 가능
  • 리전안에 위치하며 1개의 가용영역당 1개의 서브넷을 생성해야함
  • VPC는 일반적으로 프라이빗 IP주소를 사용함 => 외부 네트워크에서 VPC에 접근할 수 없음
  • 접속할 네트워크와 VPC의 CIDR 블록이 중복되지 않아야함
  • 호스트 주소는 여유를 갖도록 가능한 한 많이 확보

4가지 항목을 설정하여 VPC 생성

  • VPC 이름 (Name 태그)
  • CIDR 블록
  • IPv6 설정 (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
  • 태넌시 ( 전용 하드웨어 사용 여부)

서브넷

  • VPC만으로는 EC2와 같은 자원을 네트워크에 만들 수 없음 => VPC 안에 더작은 네트워크 단위인 서브넷을 생성하여 자원생성
  • 서브넷은 하나의 AZ( 가용영역 )안에 속해야 함, 여러 AZ에 걸쳐 있을 수 없음 => AZ에 자원을 배치해 가용성을 높이려면 서브넷도 여러개 생성해야함
  • 서브넷에는 생성할 VPC의 CIDR 블록 범위 내에서 CIDR 블록을 지정해야함 => VPC CIDR = 10.0.0.0/16 서브넷 CIDR = 10.0.0.0/24 VPC 안에 서브넷이 있는 개념이기 떄문
  • 하나의 AZ안에 여러 서브넷 생성 가능

라우팅 테이블

  • AWS VPC에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각 서브넷에 사용할 라우팅 테이블을 지정함
  • VPC를 통해 흐르는 패킷은 생성된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결정
  • VPC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1개의 라우팅 테이블이 생성
  • 기본 상태에서는 VPC 내부에서의 라우팅 정보만 있음 , VPC 외부로 통신 불가
  •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에 정보를 추가해야함

생성된 VPC 라우팅 테이블

도착지 대상
10.0.0.0/16 local(VPC 내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추가된 VPC 라우팅 테이블

도착지 대상
10.0.0.0/16 local(VPC 내부)
0.0.0.0/0 인터넷 게이트웨이
  • 0.0.0.0/0 주소를 추가해 외부와 통신하기위한 주소 추가

인터넷 게이트 웨이

  •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서브넷 안에 있는 EC2와 같은 자원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능
  • 라우팅 테이블에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성정하면 인터넷과 VPC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됨
  •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가는 경로가 설정된 서브넷을 퍼블릭 서브넷 이라고함
  •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없는 서브넷을 프라이빗 서브넷 이라고함
  • EC2는 퍼블릭 IP 또는 Elastic IP를 부여해 인터넷과 EC2가 통신할 수 있음
  • Elastic IP: EC2에 설정할 수 있는 퍼블릭 IP 주소, 영구적으로 사용가능 방화벽 등에서 IP주소를 고정해 통신을 허가하는 경우 사용함

NAT 게이트 웨이

  • VPC 내부 생성된 프라이빗 서브넷 EC2 같은 자원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능
  • 단방향 통신이므로 AWS 외부와 안전하게 통신 가능
  • Nes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프라이빗 IP 주소를 퍼블릭 IP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 => 인터넷과 통신가능하게 변환
  • NAT 게이트웨이를 이용해 통신하기 위해서는 외부 통신을 수행하는 서브넷의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 정보를 등록해야함

VPC 접근 제어 및 통신 로그 확인

  • VPC에는 서브넷 단위로 접근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ACL과 보안그룹을 조합해 접근제어 설정 가능

보안그룹, ACL 차이점

https://nulls.co.kr/AWS/131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보안관련 서비스  (0) 2023.10.03
AWS S3  (0) 2023.09.27
AWS Lambda  (0) 2023.09.26
AWS EC2  (0) 2023.09.26
AWS EC2 M2 Pro MAC 인스턴스 출시  (0) 2023.09.21
  1. IP주소
  2. IPv4
  3. 퍼블릭 IP주소
  4. 프라이빗 IP주소
  5. CIDR 블록
  6. 라우팅 및 라우팅 테이블
  7. 라우터
  8. 라우팅
  9. 라우팅 테이블
  10. AWS 라우터 테이블
  11. DNS
  12. VPC
  13. 서브넷
  14. 라우팅 테이블
  15. 인터넷 게이트 웨이
  16. NAT 게이트 웨이
  17. VPC 접근 제어 및 통신 로그 확인
  18. 보안그룹, ACL 차이점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보안관련 서비스
  • AWS S3
  • AWS Lambda
  • AWS EC2
index.ys
index.ys
머리속에 떠도는 코드조각들을 맞추는 공간입니다.
index.ys
코린이 개발일지
index.ys
전체
오늘
어제

공지사항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 Github
  • Notion
  • Figma
  • 타닥타닥 (235)
    • 개발일지 (124)
    • html , css (0)
    • Javascript (30)
    • Node.js (8)
    • React (2)
    • 네트워크 (1)
    • DB, SQL (5)
    • AWS (11)
    • CS (21)
    • 면접 (13)
    • 사진 (4)
    • 북로그 (3)
    • 머릿속 (5)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index.ys
AWS 네트워크 및 콘텐츠 전송 서비스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