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 로그인
- 루트 사용자 : 루트 사용자는 모든 권한을 가진 사용자, 보안을 위해서 IAM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별도의 IAM 계정을 만들고 각 IAM 사용자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해 서비스를 사용함, AWS 계정 구성변경, 계약 해지, 계약 변경 등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가장 큰 권한을 가진 사용자
- IAM 사용자 : 계정 별로 권한을 부여 받아 특정 서비스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상용자
AWS 서비스 이용하기
웹 브라우저에서 AWS 조작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직관적인 사용방법, 마우스와 같은 장치를 이용해 직관적으로 AWS조작 가능
CLI도구로 AWS 조작
- AWS 서비스는 명령어를 이용한 조작도 가능하다, 명령어로 조작하려면 AWS Command Line Interface를 설치 해야함
- 브라우저에서 작업하는것보다 어렵지만 같은 명령을 실행했을 때 언제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떄문에 재현성이 높다.
- 브라우저의 UI가 바뀌거나 다른 버튼을 클릭해 설정을 잘못할 경우가 발생하지만 관리 콘솔을 이용하면 정확한 설정을 통해 조작 실수를 줄일 수 있다.
- 관리 콘솔 명령어 공식 문서 주소 : https://docs.aws.amazon.com/cli/latest/reference/
aws — AWS CLI 1.29.44 Command Reference
docs.aws.amazon.com
윈도우에 설치
- 브라우저 주소창에 아래 주소를 넣고 요청하면 실행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https://awscli.amazonaws.com/AWSCLIV2.msi
설치 확인
- 실행파일 설치후 파워쉘 명령어로 aws가 설치 되었는지 확인 aws --v는 aws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
프로그램 방식으로 조작
- AWS 서비스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조작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AWS를 사용하기위해서는 각 개발 언어에 AWS SDK(Software Development Kit)라는 개발 키트를 설치해야한다
- SDK는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과 예제코드를 정리 한것
- JavaScript, Ruby, Python, Java,PHP, Go,.NET, C++ 등의 개발언어를 지원함
- SDK를 활용해 작원을 조작하고 프로그램의 일부로 AWS를 조합하거나 S3에 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
- 응용 프로그램과 AWS 서비스를 연결해 복잡하고 유연한 서비스 제공 가능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M2 Pro MAC 인스턴스 출시 (0) | 2023.09.21 |
---|---|
AWS VPC (0) | 2023.09.19 |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0) | 2023.09.19 |
AWS의 구조 (0) | 2023.09.18 |
AWS S3 버킷 삭제 액세스 거부 문제 (0) | 2023.08.19 |